티스토리 뷰

금융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 (2024년)

꿈꾸는 청년 2024. 2. 16. 00:31

 

 

 

3.80%

 

현재 시중은행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가장 높은 금리를 나타내는 퍼센티지인데요. 여러분은 이 금리가 높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적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저축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금리보다는 다소 낮은 편이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우대금리를 포함하면 4%를 넘기는 상품이 있는데요. 과연 어떤 은행 상품이 4%를 넘기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 은행의 금융 상품은 매주 시시각각 금리 변동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예금 이자가 가장 높은 은행 상품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 남겨드립니다. 

 

 

 

 

 

목차

     

     

    시중은행 예금 금리를 비교하기 전 예금 가입 조건은 아래 표와 같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금 가입 조건
    저축 금액 저축
    예정 기간
    이자
    계산 방식
    1,000만 원 12개월 단리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
    (금리 높은 은행 1~5위)

    은행명 상품명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
    세후
    이자
    (원)
    1.
    전북은행
    JB다이렉트
    예금통장
    (만기일시
    지급식)
    3.80
    /3.80
    세후
    이자
    확인
    👆
    2.
    수협은행
    헤이(Hey)
    정기예금
    3.72
    /3.72
    3.
    전북은행
    JB 123
    정기예금
    (만기일시
    지급식)
    3.70
    /3.70
    4.
    K뱅크
    코드K
    정기예금
    3.70
    /3.70
    5.
    광주은행
    The
    플러스예금
    3.60
    /3.60

     

     

    위의 표에서 보시다시피 아쉽게도 1 금융권 상품은 없음을 확인하실 수 있으셨을 텐데요. 하지만 다음 6~10위 사이에는 1 금융권 상품이 있는데 어떤 은행이지 한 번 살펴보시죠.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
    (금리 높은 은행 6~10위)

     

    은행명 상품명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
    세후
    이자
    (원)
    6.
    NH
    농협은행
    NH올원
    e예금
    3.60
    /3.60
    세후
    이자
    확인
    👆
    7.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8.
    KDB
    산업은행
    KDB
    정기예금
    9.
    한국
    스탠다드
    차타드은행
    e-그린
    세이브예금
    3.55
    /3.85
    10.
    DGB
    대구은행
    IM
    스마트예금
    3.55
    /3.80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6위에 1 금융권 상품인 NH농협은행이 있습니다. 현시점 마이뱅크 홈페이지에서 1위인 전북은행의 JB다이렉트 예금통장과의 세후 이자가 16,920원 차이인데요. 이 금액이면 별다방 아메리카노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무려 4잔 값이니 적지 않은 금액인 것 같습니다. 

     

     

    우대 금리 4% 이상
    시중은행은 어디?

     

    우대 금리 4% 이상 판매하는 은행 상품은 위의 두 표에서 보셨다시피 2위인 전북은행의 JB123 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이 외의 상품은 어떤 은행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은행명 상품명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
    세후
    이자
    (원)
    Sh
    수협은행
    Sh첫만남
    우대예금
    3.07
    /4.12
    세후
    이자
    확인
    👆
    대구은행 DGB주거래
    우대예금
    (첫만남
    고객형)
    3.40
    /4.05

     

     

    위 두 상품은 한 가지 아쉬운 점이 하나 있죠. 바로 첫 거래 고객이어야 한 다는 점인데요. 대구은행과 수협은행 미 고객이신 분들께서는 시중은행에서 비교적 높은 금리 상품이니 우대조건을  알아보시고 모두 적용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적금 VS 예금

    예금 상품을 알아보시고 계신 여러분은 적금도 알아보시는 분도 계실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만기 시 이자 지급의 차이가 바로 그것인데요.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이자 계산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예를 들어서 정기예금 이자가 연 4%라고 할 때, 실제로도 연 4%입니다. 하지만 정기적금은 말이 다르죠. 정기적금의 이자가 연 4% 일 때 실질이자율은 절반 수준인 2%입니다. 충격적이지 않나요?

     

    지금부터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했으니 이번 기회에 이 둘의 차이를 숙지하시면 경제활동에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정기예금

    1. 정기예금은 특정 기간 동안 원금을 은행에 예치하는 상품입니다.

    2. 가입 기간 동안 원금이 미리 예치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는 예치금에 대한 고정된 이자율이 적용됩니다.

    3. 이자는 보통 가입 시점에 정해진 금리로 계산되는데, 가입 기간이 끝날 때까지 변동되지는 않습니다. 

    4. 가입 기간이 끝나게 되면 예치한 원금과 미리 계산된 이자가 합산돼서 반환됩니다. 

     

    정기적금

    1. 정기적금은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여 원금을 점차적으로 모으는 상품입니다.

    2. 각 납입 시점마다 해당 월에 적용되는 이자율로 이자가 계산되는 구조입니다.

    3. 일반적으로 정기적금 상품은 가입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납입액과 이자를 누적하여 원금이 증가하는 형태를 띱니다.

    4. 그렇기 때문에 각 납입 시점의 금리 변동에 따라서 실제 이자율이 원래 이자율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예금VS정기적금
    정기예금VS정기적금

     

    12개월에 1,200만 원씩 저축하는 두 사람 갑(甲), 을(乙)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먼저, 갑은 매달 100만 원씩 적금해서 12개월 동안 1,200만 원을 모았고, 을은 1월 1일 새해를 맞이해서 1,200만 원을 예금했습니다.

     

    예금과 적금 금리가 3%로 같다고 가정했을 때, 갑과 을의 이자는 각각 얼마일까요? 단, 이자 소득세는 제외합니다.

     

    적금VS예금적금VS예금
    적금VS예금

     

     

    바로, 

    갑(甲)은 원금 1,200만 원을 넣고 이자가 19만 5,000원을 받게 되고,

    을(乙)은 같은 금액을 넣고 이자가 36만 원을 받게 됩니다. 

     

    같은 3% 이율인데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정기적금은 1월에 100만 원을 내면 3% 금리 이율이 12월 내내 적용받게 되지만, 2월에는 100만 원을 내면 3% 이율이 11개월만 적용받게 되고, 3월에 100만 원을 내면 3% 이율이 10개월만 적용받게 되는데요.

     

    이런 식으로 마지막 달에 내는 100만 원은 한 달 동안만 금리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금리는 3% 이지만 원금 대비 1.625%의 수익을 받게 되는 것이죠. 정기예금은 같은 금액의 목돈은 한 번에 내게 되면, 예금 기간 내내 목돈을 금리의 영향의 지배하에 둘 수 있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을(乙)의 예시를 보게 되면 3%의 금리를 12개월 동안 적용되는 것이죠.

     

    혹시 예금과 적금을 두고 고민 중이신가요?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린다면, 만약 여러분께서 목돈이 충분하시다면 예금 가입을, 목돈이 부족하다면 적금 가입을 추천드려요. 적금이 만기 되었을 경우 그 돈을 그대로 예금 가입하시면 됩니다.

     

     

    단리와 복리 차이점

     

    단리

     

    단리는 말 그대로 단순 이자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원금에 대한 이자만 계산하는 것이 단리인데요. 예를 들어 이해를 도와 드리겠습니다.

     

    1. 원금 1,000만 원 / 만기 1년 / 연이율 4% / 단리 예금일 경우

    - 1년 후, 세전 30만 원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됩니다.

    (1,000만 원 x 0.04 = 40만 원)

    - 2년 후, 세전 30만 원에 대한 이자

    (1,000만 원 x 0.04 = 40만 원)

    - 1년 +1년 = 2년 

    - 40만 원 + 40만 원 = 80만 원

     

    단리와 복리 차이점단리와 복리 차이점단리와 복리 차이점
    단리와 복리 차이점

     

     

    복리

     

    복리는 한자로 풀어 설명하면 '거듭되다'를 의미하는데요. 다시 말해서 원금에 이자를 다시 거듭해서 준다라는 뜻입니다.

     

    아래 예를 참고해 주세요.

     

    1. 원금 1,000만 원 / 만기 1년 / 연이율 4% / 복리 예금할 경우

    = 1년 후, 세전 40만 원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됩니다.

    (1,000만 원 x 0.04 = 40만 원)

     

    2. 원금 1,000만 원 / 만기 2년 / 연이율 4% / 복리 예금할 경우

    = 1년 후, 세전 40만 원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됩니다.

    (1,000만 원 x 0.04 = 40만 원)

    = 2년 후, 원금 + 이자 = 1,040만 원에 대하여 가산해서 계산합니다.

    (1,040만 원 x 0.04 = 41만 6천 원)

     

    복리라는 것은 결국 1년 원금에 대한 이자를 합산한 것을 다시 계산해서 이자에 대한 이자를 주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금액이 누적이 된다면 눈덩이처럼 불어나 큰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단, 1년 만기를 생각한다면 복리에 대한 장점은 없는 셈이죠.

     

     

    지금까지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를 비롯해 예·적금 비교 및 단리와 복리에 대해 깨알 공부도 해 보았는데요. 여러분의 예금 상품 가입에 도움뿐만 아니라 얕지만 중요한 경제 지식을 쌓아 여러분의 통장 주머니가 두둑해지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 (2024년 1월)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 (2024년 1월)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1~5위)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1~5위)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1~5위)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1~5위)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6~10위)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6~10위)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6~10위)
    시중은행 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은행 6~10위)
    정기예금VS정기적금정기예금VS정기적금정기예금VS정기적금
    정기예금VS정기적금
    단리와 복리 차이점단리와 복리 차이점단리와 복리 차이점
    단리와 복리 차이점